SQL 작성 시 묵시적 형 변환 함정에 빠지지 말자!!

Overview

정말 오랜만에 포스팅합니다. 그동안 개인적인 일이 조금 있어서.. 조금 소홀이 했었네요. ^^

오늘은 묵시적인 형 변한에 대해서 설명을 드릴까 합니다. 서비스 쿼리를 작성하다보면, 이상이 없는 데 성능이 이상하게 안좋은 경우가 있습니다. 명시적으로 쿼리 내용을 볼 수 있다면 괜찮겠지만, 어플리케이션에서 변수를 바인딩하여 SQL을 실행하는 경우는 더욱 찾기가 어렵습니다.

묵시적 형 변환은 단순히 MySQL 뿐만 아니라 Oracle, MS-SQL 등 다른 DBMS에서도 반드시 주의를 해야하는 사항입니다.

묵시적 형 변환이란?

묵시적 형 변환이란 조건절 데이터 타입이 다르면 우선 순위가 있는 쪽으로 형 변환이 내부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Read More]

아마존의 가상 RDBMS인 Amazon RDS의 특성 몇 가지

Overview

지난 해 말 글로벌 서비스를 겨냥하여 Amazon 가상 플랫폼 상에 인증 서비스를 오픈하였고, 올해 초에는 푸딩.투 서비스 또한 런칭하여 서비스 중에 있습니다.

글로벌 서비스를 위한 저장소로는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가상 관계형 DBMS인 Amazon RDS를 사용 중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mazon RDS에 대한 특성 몇 가지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Virtual Database Instance

Amazon RDS는 Virtual Database Instance입니다.

DBMS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미들웨어이고, 미들웨어는 OS 기반 위에서 동작합니다.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OS에 접근하여 그에 맞게 DBMS를 설치하고, 관련 파라메터도 정의를 해야만 하지만, 모든 것이 “웹 콘솔” 상에서 간단하게 처리합니다.

[Read More]

Maria 2탄 – 진화하는 Maria, 함께하는 MySQL!!

Overview

MySQL 오픈 소스 진영은 더이상 단순 데이터 처리에만 강한 DBMS이기를 거부합니다. 이제는 대용량 처리에 적합하도록 탈바꿈 중입니다.

지금까지 MySQL에서는 단일 쓰레드로 Nested Loop 방식으로 쿼리를 처리하였기 때문에, 조인 건 수가 대형화될 수록 성능이 급속도로 악화되었습니다.

MariaDB는 5.3버전부터 DB 엔진과 스토리지 엔진 간의 데이터 전송이 개선되었고, 조인 시 추가적인 블록 기반의 조인 알고리즘을 제공합니다. 물론 MySQL도 5.6버전부터는 관련 기능을 어느정도 지원합니다.

변화하는 MariaDB에 대해 몇 가지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Disk access optimization

1) Index Condition Pushdown

MySQL/MariaDB는 구조적으로 DB 엔진과 스토리지 엔진 역할이 명확하게 구분됩니다.

[Read More]

MySQL에서 Replication Driver 사용 시 장애 취약점 리포트

Overview

MySQL에서 슬레이브 부하 분산을 하는 방안으로 Replication Driver 기능을 제공하는 jdbc 내부적으로 지원합니다. Replication Driver를 사용하면 상당히 간단하게 마스터/슬레이브 활용을 할 수 있고 어느정도의 Failover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서비스 적용을 위해 Failover테스트 도중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습니다. 관련 포스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사용 방법

Replication Driver 사용 시 ReadOnly 옵션을 True/False 상태에 따라 마스터/슬레이브 장비를 선택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ReadOnly이 False이면 마스터 장비에 쿼리를 날리고, True이면 슬레이브에 쿼리를 날리는 구조입니다. 그리고 로드발란싱 기능을 사용하면, 슬레이브 서버 부하 분산할 수 있습니다.

[Read More]

메모리 기반 RDBMS, MemSQL을 알아봅시다

MemSQL이란?

MemSQL은 디스크 병목을 최소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메모리 기반의 관계형 DBMS입니다. 메모리 기반으로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엄청난 속도로 Read/Write이 가능하며, 기존의 NoSQL 또는 캐시로만 가능했던 퍼포먼스 향상이 있습니다. 실제로 디스크 기반 DBMS 대비 약 30배 이상의 성능 향상이 있다고 하니, 놀라울 따름입니다.
memsql logo

최근 들어 메모리 가격이 하루가 다르게 저렴해지고 있기 때문에 메모리 사이즈를 최대한 늘려서 가격 대비 성능 비를 최대로 이끌어 내는 DB입니다.

MemSQL 특징

1) 강력한 SQL기반의 통신

SQL 기반으로 통신하며, MySQL API를 따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 MySQL을 사용하는 서비스 경우 로직 변경이 불필요하다고 합니다. 하다못해 라이브러리 또한 기존 MySQL에서 사용하던 그대로 재사용해도 상관 없습니다.

[Read More]

Maria 1탄 – MySQL의 쌍둥이 형제 MariaDB를 소개합니다.

MariaDB란?

MySQL이 Sun Microsystems로 넘어가면서 당시 MySQL AB 출신들이 따로 나와서 MySQL을 기반으로 한 다른 오픈 소스 기반의 DBMS를 배포했다고 합니다. 바로 MariaDB가 그것이며 MySQL과 유전 정보를 그대로 고수한 진짜 오픈 소스 기반의 DBMS입니다.

현재 Monty Program AB와 MariaDB Community에서 개발하고 있으며, MySQL과 기본적으로 구조 및 사용 방법 등 모두 동일합니다. (동일 소스에서 개발되고 있으니 당연한 말입니다.)

Monty Program AB에 따르면 많은 기능들이 MariaDB에서 먼저 구현을 하고 그 후 MySQL에도 반영이 된다고 하는데, 마치 CentOS와 Redhat 리눅스 관계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Read More]

MySQL에서 Temporary Table을 활용한 데이터 질의..그 효과는?

Overview

오늘은 Temporary Table에 관해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Select및 Update 등을 이따금씩 Temporary Table을 활용하여 수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동시에 많은 데이터를 일괄 변경하는 것에서는 분명 강점이 있을 것이라 판단되는데, 어떤 상황에서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관련 성능 벤치마크 결과를 공개하겠습니다.

Environment

테이블에는 약 1000만 건 데이터가 존재하며, Primary Key외에는 추가 인덱스는 생성하지 않았습니다. 서로 동등하게 빠른 데이터 접근이 가능하다는 가정 하에 PK외 인덱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성능 저하 요소를 배제하기 위해서 입니다.^^

[Read More]

Amazon RDS에서 유실된 데이터 복원하기

Overview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Amazon RDS)**는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설치, 운영 및 확장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자원을 유연하게 배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클라우드이지만, 모든 서비스는 결국에는 사람 손을 거쳐야 하고, 때로는 인재로 인한 데이터 유실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용이 편리하게 구현되어 있지만,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권한 또한 상당히 제약적(인스턴스 관리자일지라도)입니다.

오늘은 Amazon RDS 상에서 데이터 유실 장애가 발생한 경우 대처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하여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기준은 MySQL이나 타 DBMS도 큰 차이가 없을 것 같네요^^)

[Read More]

Tumblr에서는 MySQL로 어떻게 대용량 데이터를 관리하였을까?

Overview

트위터의 새로운 분산 관리 라이브러리 Gizzard를 소개합니다.를 알아보던 당시 부사수 임창선님과 진행했던 또 다른 해외 사례 Tumblr를 정리해보았습니다.

Tumblr는 국내에서는 사용자가 많지는 않지만, Twitter 정도의 트래픽을 자랑하는 Micro Blog 서비스입니다. 하루 평규 5억 이상의 PV가 나오고, 초당 4만 건 이상 Request가 나오며, 하루 평균 3TB 이상의 데이터를 쌓는다고 하니 엄청난 서비스인 것은 틀림 없습니다.

이정도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서 수 천대 이상의 서비스를 운영한다고 하는데, 데이터 관리를 MySQL을 활용하여 제공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MySQL로 어떻게 대용량 데이터를 멋지게 다뤘을까요?

[Read More]

MySQL에서 테이블 스키마를 “무중단”으로 변경해보자!!

Overview

MySQL은 단순 쿼리 처리 능력은 탁월하나 테이블 스키마 변경 시에는 상당히 불편합니다. 일단 테이블 스키마 변경 구문을 실행하면 임시 테이블 생성 후 데이터를 복사하고, 데이터를 복사하는 동안에는 테이블에 READ Lock이 발생하여 데이터 변경 작업을 수행하지 못합니다. (Table Lock이 걸리죠.)

이 같은 현상은 인덱스, 칼럼 추가/삭제 뿐만 아니라 캐릭터셋 변경 시에도 동일하게 발생합니다. (최근 5.5 버전에서는 인덱스 추가/삭제에서는 임시 테이블을 생성하지 않습니다.)

얼마 전 서비스 요구 사항 중 테이블 칼럼을 무중단으로 변경하는 것이 있었는데, 이에 관해 정리 드리겠습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