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의 가상 RDBMS인 Amazon RDS의 특성 몇 가지

Overview

지난 해 말 글로벌 서비스를 겨냥하여 Amazon 가상 플랫폼 상에 인증 서비스를 오픈하였고, 올해 초에는 푸딩.투 서비스 또한 런칭하여 서비스 중에 있습니다.

글로벌 서비스를 위한 저장소로는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가상 관계형 DBMS인 Amazon RDS를 사용 중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mazon RDS에 대한 특성 몇 가지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Virtual Database Instance

Amazon RDS는 Virtual Database Instance입니다.

DBMS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미들웨어이고, 미들웨어는 OS 기반 위에서 동작합니다.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OS에 접근하여 그에 맞게 DBMS를 설치하고, 관련 파라메터도 정의를 해야만 하지만, 모든 것이 “웹 콘솔” 상에서 간단하게 처리합니다.

[Read More]

Amazon RDS에서 유실된 데이터 복원하기

Overview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Amazon RDS)**는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설치, 운영 및 확장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자원을 유연하게 배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클라우드이지만, 모든 서비스는 결국에는 사람 손을 거쳐야 하고, 때로는 인재로 인한 데이터 유실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용이 편리하게 구현되어 있지만,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권한 또한 상당히 제약적(인스턴스 관리자일지라도)입니다.

오늘은 Amazon RDS 상에서 데이터 유실 장애가 발생한 경우 대처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하여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기준은 MySQL이나 타 DBMS도 큰 차이가 없을 것 같네요^^)

[Read More]